Page 47 - 퇴옹학보 제17집
P. 47

퇴옹성철의 불학체계와 그 특징  • 47




                    지 완전히 떨치고 오매일여 숙면일여의 경계를 넘어서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견성이다.”     83)




                                                                   84)
                 화두를 들고 수행해 동정일여, 몽중일여, 숙면일여의 경계 를 투과
               하면 유루종자의 성질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고 퇴옹이 명쾌하게 제시
               해 놓았다. 제1식부터 제5식에 있는 유루종자를 바꾸면 성소작지(成所

               作智), 제6식의 유루종자를 바꾸면 묘관찰지(妙觀察智), 제7식의 유루종
               자를 바꾸면 평등성지(平等性智), 제8식의 유루종자를 바꾸면 대원경지

                                          85)
               (大圓鏡智)를 각각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선문정로』가 『대반열반경』·
               『대승기신론』 등 경론(經論)에 의거해 자신의 주장을 논증하는 ‘성언량
               (聖言量) 방식’을 채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감각기관으로 대상을 인식하

               는 ‘현량(現量)’이나 삼지작법(三支作法)의 논식으로 진리를 파악하는 ‘비
               량(比量) 방식’으로 깨달음을 논증하기는 매우 어렵고, 거의 불가능에 가

               깝다. 친히 깨침을 현증(現證)하거나 증득한 사람이 남긴 글이나 논을

               통해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방식을 퇴옹이 택한 것은 아마도 이 때문일
               것이다.










               83) 퇴옹(2007), 75-76.
               84) 이것이 이른바 ‘퇴옹삼관’(退翁三關)이다.
               85)  이것을 전식득지(轉識得智)라 한다. 『成唯識論』(T31, 56b), “此轉有漏八七六五識相應品
                  如次而得. 智雖非識, 而依識轉, 識爲主故, 說轉識得. 又有漏位, 智劣識强; 無漏位中, 智
                  强識劣. 爲勸有情依智捨識, 故說轉八識而得此四智.”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