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퇴옹학보 제17집
P. 50

50 • 『퇴옹학보』 제17집




                 그대들의 머리 위에 뿌리리라.”       91)



               ‘수시’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비슷한 장면이

            『임제록』에 있다.



                 [2] “어떤 수행자가 ‘무엇이 부처님 가르침의 큰 뜻입니까?’라고 묻

                 자, 임제가 불자(拂子)를 들었다. 그 수행자가 소리 지르자, 임제가
                 곧바로 때렸다. 그 수행자가 다시 ‘무엇이 부처님 가르침의 큰 뜻입
                 니까?’라고 묻자, 임제는 역시 불자를 들었다. 그 수행자가 소리 지
                 르자 임제도 소리 질렀다. 그 수행자가 머뭇거리며 생각하자[擬議]

                                   92)
                 임제가 곧바로 때렸다.”



               질문에 불자(拂子)를 들고, 고함 지르고 때리는 임제의 행동이 이해되

            기 어려운 것처럼 인용문 [1]의 내용도 그렇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알기 어렵다. 머뭇거리며 생각하지 못하게 하는 것 같다. 아니 언어와
            생각의 길을 끊어 버렸다. ‘머뭇거리며 생각하는’ 수행자를 임제가 때린

            장면에 해답의 조그마한 길이 보인다. ‘의의(擬議)’는 『주역정의(周易正義)』

            「계사(繫辭) 상(上)」에 보이는, “헤아린 다음 말하고, 따져 본 다음 움직
                                              93)
            이니, 헤아리고 따져 그 변화를 이룬다.” 는 구절에 나오는 말이다. 「계



            91) 퇴옹(2020), 17-18.
            92)  五燈會元』(권제11, 648). “僧問: ‘如何是佛法大意?’ 師竪起拂子. 僧便喝, 師便打. 又僧
               『
               問: ‘如何是佛法大意?’ 師亦竪拂子. 僧便喝, 師亦喝. 僧擬議, 師便打.”
            93) 『十三經注疏整理本1  周易正義』(324),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以成其變化.”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