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퇴옹학보 제17집
P. 51

퇴옹성철의 불학체계와 그 특징  • 51




               사」에 따르면 ‘의의’는 ‘이리 저리 따지고 헤아리는’ 것이다.

                 그런데 임제는 헤아리고 따지는 수행자를 곧바로 때려버렸다. 헤아리
               고 생각하는 길을 끊어 버린 바로 그 순간으로 수행자를 몰아넣는다.

               헤아리고 따져보고 말하고 행동하라는 『주역』의 가르침과는 정반대다.

               붓다의 가르침은 신비한 것도, 말로 알 수 있는 것도, 생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도, 생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것도 아니고 ‘바로 지금

               여기 있는 것임’을 보여주려는 것일까? 수행자를 궁벽한 상황에 넣고자
               때리듯이 ‘인용문 [1]’도 독자를 막다른 골목으로 유도한다. 아니 토끼

               몰이 하듯이 몰아 부친다. 그래도 한 번 헤아려 보자.




                    “①이렇고 이러하니 ②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며 ③해와 달이
                    캄캄하도다.
                     ④이렇지 않고 이렇지 않으니 ⑤까마귀 날고 토끼 달리며 ⑥가을

                    국화 누렇도다.”



                 ①과 ④가 대응하고, ②와 ⑤가 상응하고, ③과 ⑥이 짝이 된다. ‘이

               렇고 이러하니’와 ‘이렇지 않고 이렇지 않으니’;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데 ‘까마귀는 날고 토끼는 달리며’; ‘해와 달이 캄캄’한데 ‘가을
               국화는 누렇다.’ 서로 상반된다. 이래도 아니고 저래도 아닌 것이 아니라

               ‘이런데 이렇고, 이렇지 않으니 이렇지 않다’는 식이다. ‘임제와 수행자의

               대화’와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헤아리거나 머뭇거리지 못하게 하는 방
               식은 비슷하다. 말과 생각의 길을 끊어 진퇴양난, 즉 ‘딜레마’에 빠트린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