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퇴옹학보 제18집
P. 109
僧肇와 性徹의 中道사상 비교 • 109
고 이끌어가는 성과를 말한다. 예를 들면 교학가가 대다수이던 정화 불
151)
교 이전에 비해 그 이후 조계종은 선종 일색이 되도록 한 것이나, 해
방 이후 우리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1
152)
위를 차지한 것 등이다. 물론 그 평가 기간이 길지 않은 성철 사상이
이후 우리 한국의 사상과 정치 사회적 현실에 어떠한 영향을 얼마나 미
칠지에 대한 논의가 현재로서 다 가능하지 않은 점은 고대 시기에 사상
을 펼쳐 굉장히 오랜 기간 평가를 거친 승조와의 차이점이다.
2. 학문적 배경; 학문적 추구의 경향성
승조의 학문 배경에 대해 가장 일찍 드러나는 점은 집안이 가난하여
글을 필사하는 일을 하며 경전을 두루 보게 되어 당시 성행하던 노장 현
학에 관심을 두지만 무언가 불만이 있던 중 『유마경』을 읽고 기뻐서 머
리 높이 받들며 비로소 귀의할 곳을 알고 출가한다 153) 는 것이다. 이는
나중에 구마라집이라는 스승을 만나 154) 인도의 반야공 사상을 직접 접
151) 김종인(2006), 323.
152) 1993 한국기자협회가 제4회 올해의 인물로 성철을 선정함. (고영섭(2019), 8.)
153) “일찍이 노자의 도덕경을 읽고 탄식하며 ‘아름답고도 아름답다. 그러나 정신을 기약하
고 얽매임을 없애는 방법으로는 아직 충분히 좋은 것은 아니다’고 하였다. 나중에 유마
경을 보고 기뻐서 머리 높이 받들며 들추어 찾아내고 완미하여 ‘비로소 귀의할 곳을 알
았다’고 하였다. 이에 출가하였다.”(『高僧傳』(T50, 2059), “嘗讀老子德章, 乃歎曰, 美則
美矣. 然期棲神冥累之方, 猶未盡善也. 後見舊維摩經, 歡喜頂受披尋翫味, 乃言, 始知所歸
矣. 因此出家.”
154) 승조는 20세(서기 403년)에 출가하여 구마라집을 만난다. (許抗生(1998),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