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퇴옹학보 제18집
P. 114

114 • 『퇴옹학보』 제18집




            사고  176) 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조 저작에 주석을 단 천태종 고승 遵

            式이 말하는 理는 본체이고, 그 저작에 또 다른 주석을 한 화엄종 사상
            가 淨源의 ‘妙心’도 최고의 본체로서 모든 만물이 이 본원에서 생겨난

            다. 177)  이러한 수당 불교의 발전에서 특히 선종은 불교의 중국화의 측면

            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승조 이후 중관학은 현학에서 독립했으나 그
                                   178)
            현학은 다시 은퇴하지 않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혜능은 인도
            전통과 완전히 성격을 달리하여 中國禪이라는 새로운 禪門을 처음 열어

            젖힌 開祖    179) 라고도 여겨진다. 이러한 측면은 승조나 길장 방식의 空
            觀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것이다.

               한편 성철의 학문적 상황은 승조의 경우와 같은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같은 점은 특정의 서적을 읽은 후 출가한다는 것과 사상 초기와

            후기가 일관된 흐름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반면 다른 점은 그 특정 서적

            의 사상이 같지 않고, 서로 다른 책의 선택에는 어린 시절의 개인적 성
            향도 이미 반영되어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즉 승조의 초기 사상에 커다

            란 영향을 준 것이 입세와 출세의 미분리를 말하는 『유마경』이라면 성
            철의 경우는 永嘉의 『證道歌』인데, 사상적 차이가 있다. 그의 출가를 결

            심하게 한 이 책은 캄캄한 밤중에 횃불을 만난 것처럼, 젊은 시절 지적

            으로 방황하는 성철에게 갈 길을 환히 비추는                180)  이정표 역할을 한다.




            176) 김용수(2002), 225.
            177) 張春波(2010), 10-14.
            178) 羅因(2003), 379.
            179) 鈴木大拙, 박용길 역(1997), 159.
            180) 성철(1993), 234.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