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 퇴옹학보 제18집
P. 187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 187




                    고 쌍조(雙照)입니다. 유와 무를 완전히 버려서 공과 유를 떠난 묘
                    한 공과 유가 되는 것입니다. 묘한 공과 유라는 말은 공이 곧 유이

                    고, 유가 곧 공이어서 공과 유가 서로 통합니다.”          30)




                 중생의 삶을 고통으로 몰아가는 변견(邊見)과 양변(兩邊)은 나와 너, 진
               보와 보수, 비구와 대처, 친일과 반일 같은 극단적인 인식과 행동이다.

               이렇게 갈등하는 두 극단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나와 너를 동시에 부정

               해야 하는데 그것이 쌍차이다. 타자를 부정하고 자신을 긍정하고 싶어
               하는 것이 중생심이다. 그러나 둘 중 하나만을 부정하면 상대방이 수용

               할리 만무하다. 따라서 나와 너가 동시에 변견을 내려놓는 것이 전제되
               어야 한다. 나와 너를 동시에 내려놓는 것을 통해 비로소 둘은 긍정될

               수 있다. 따라서 쌍차쌍조는 대립과 갈등을 넘어 화해와 공존의 삶을 여

               는 인식의 전환이자 실천론이다. 역대의 논사들은 중도를 설명하기 위
               해 다음과 같은 설명방식들을 동원했다.

                 첫째는 『열반경』에 나오는 쌍비쌍역(雙非雙亦)이다. 경에 따르면 “불성
               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며, 또한 있는 것이고 또한 없는 것

                                                                 31)
               이니, 있는 것과 없는 것이 합하는 까닭에 중도라고 한다.” 라고 했다.
               존재의 실상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자신만이 옳다고 고집하는 자기중심
               적 인식이 해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직 나만’이라는 인식도 틀렸지만

               반대로 ‘오로지 너만’이라는 생각도 틀렸다. 이처럼 자신만 옳다는 나와




               30) 성철(2014), 134(상권).
               31) 『대반열반경』(T12, 572b), “佛性 非有非無 亦有亦無 有無合故 名爲中道.”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