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9 - 퇴옹학보 제18집
P. 209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 209




               했다. 기존에는 고의 근원을 개인적 원인으로만 파악했기 때문에 깨달

               음도 개인적 문제를 해소하는 기사구명(己事究明)으로만 이해되었다. 이
               런 관점은 필연적으로 수행의 탈역사성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퇴옹은 시대적 고통의 원인을 변견으로 진단하고, 그것을 해소하는 길

               로 중도라는 해법을 제시했다. 중도의 깨달음은 개인적 고의 해소는 물
               론 시대를 관통하는 사회적 고의 근원을 해소하는 열쇠가 된 것이다.



               4.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원리 제시




                 백일법문을 설하던 당시나 지금이나 중생세간은 이런 저런 고통으로
               넘쳐난다. 퇴옹이 해인총림 방장에 취임하고 백일법문을 설법할 때는

               사회적 갈등, 종단적 갈등 등 대립과 갈등이 고의 원천을 이루고 있었다.

               이런 현상을 지금이라고 해서 달라진 것은 아니다. 국민통합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각계의 전문가 89%는 우리나라의 분열이 심각하다고 진

                     88)
               단했다.  근대에서 현재까지 사회적 분열과 갈등은 개인에게 커다란 고
               통을 야기했다. 사람들은 진영논리에 입각해 배제의 담론을 공고화하

               면서 끊임없이 대립하고 갈등하고 있다.

                 퇴옹은 이런 갈등양상에 대해 “무슨 철학이든 어떤 종교든 자기의 독
               특한 입장을 고집해서 다른 사람과 타협할 줄을 모르는 것은 상극적인





               88)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인 국회국민통합위원회는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
                  된 각계 전문가 1,8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렇게 답했다고 밝혔다.(뉴
                  스1 2021년 3월 14일자)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