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퇴옹학보 제18집
P. 37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 37





               기까지는 귀로 듣고 믿는 차원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원래 문장을 ‘9지

               에 이르기까지는’으로 단순화하였다. 바로 뒤의 ‘~에 이르기까지’, 혹은
               ‘나아가’의 뜻을 갖는 내지(乃至)가 이것을 대신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

               이다. 다만 일체중생을 생략하지 않으면 일체중생과 10지 보살, 9지 보

               살이 구분되는 관계에 있게 된다. 9지, 10지, 등각에 이르기까지 모두
               깨닫지 못한 중생 범부임을 강조하는 성철선의 입장에서 보살과 일체중

               생을 구분하는 이 구절은 설법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그래서 이것을 생

               략하여 보살의 간접적 깨달음과 부처의 직접적 깨달음을 명확하게 대
               비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성철스님은 10지 보살이 부처와 마찬가지로 눈으로 직접 보는
               차원에 있다는 이 문장을 제한적으로 인정한다. 원래 『대열반경』에는

               안견(眼見), 문견(聞見)과 관련하여 모순된 내용이 발견된다. 즉 바로 앞,

               4-9의 인용문에 보인 것처럼 부처는 안견(眼見)이므로 명료하고, 10지
                                                   29)
               보살은 문견(聞見)이므로 명료하지 못하다 고 정의해놓고, 다시 이 인
               용문과 같이 10지 보살은 제불여래와 마찬가지로 안견(眼見)한다는 문
               장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隋)의 관정(灌頂)은 이 모순을 인식하여

               10지 보살이 문견(聞見)과 안견(眼見)의 차원에 걸쳐 있고, 오직 부처만이

               직접 확인하는 안견(眼見)의 경지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 필요가 있다                    30)
               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청량스님은 10지 초지 이전의 보살은 문견(聞見)하




               29)  『大般涅槃經』(T12, 0772b), “諸佛世尊眼見佛性, 如於掌中觀阿摩勒. 十住菩薩聞見佛性,
                  故不了了.”
               30)  灌頂撰, 『大般涅槃經疏』(T38n, 0181a), “此中應作四句, 第十住亦聞見亦眼見, 九地已下但
                  有聞見, 佛地但有眼.”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