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퇴옹학보 제18집
P. 42

42 • 『퇴옹학보』 제18집




            상 멸진정의 오매일여 경계 역시 결국은 극복해야 할 새로운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이 점은 성철선의 또 다른 종지인 구경무심론에 해당하므
            로 장을 바꿔 논의하게 되겠지만 그것은 이와 같이 돈오원각, 실참실오

            의 논의와 함께 통일되어 제시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편 제11장 「내외명철」의 장에서는 내외명철이 실경 체험이라는 점
                                                         34)
            을 강조하여 ‘실제로 견성한 이가 아니면 알 수 없다’ 는 점을 거듭 강
            조한다. 역대의 선사들 역시 이를 실경으로 체험한 일을 전하고 있다.

            『혈맥론』에서는 내외명철을 성인의 표징으로 보면서 이를 성취하기 전
            에 태양보다 밝은 광명의 출현을 언급한다. 이를 통해 남은 습기가 다 사

            라지고 법계의 자성이 드러나게 되는데 이러한 실경 체험에 이어 궁극
            의 깨달음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것은 ‘부처만 알 수 있

                                   35)
            는 일일 뿐 설명할 수 없다’ 고 말하고 있다.
               내외명철의 설법은 바로 앞의 대원경지에 꼬리를 물고 전개된다. 대
            원경지는 그 어휘의 상징성으로 인해 자신이 체험한 어떤 경계를 그것

            으로 해석하는 아전인수격 착각이 일어나기 쉽다. 그래서 대원경지의
            특징인 내외명철을 실제 경계로 제시한 것이다. 첫 인용문의 해설을 ‘경

                                                            36)
            지(鏡智)로 관조하여 내외가 명철(明徹)하면 이것이 견성’ 이라는 말로
            시작한 것이 그 증거가 된다. 이 해설이 겨냥하는 혜능스님의 원래 문장






            34) 퇴옹성철(2015), 239.
            35)  『達磨大師血脉論』(X63, 0004a), “如人飮水冷暖自知, 不可向人說也. 唯有如來能知, 餘人
               天等類, 都不覺知.”
            36) 퇴옹성철(2015), 239.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