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퇴옹학보 제18집
P. 43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 43





                                                  37)
               은 ‘지혜로써 관조하여 내외가 명철하면’ 으로 되어 있다. 원문의 맥락
                                                        38)
               에서 혜능스님의 지혜는 반야지혜를 가리킨다.  바르고 진실한 반야
               〔正眞般若〕로 관조하면 일 찰나 간에 허망한 생각이 모두 소멸한다는 것

               이다. 성철스님은 이 지혜를 대원경지〔鏡智〕로 번역한 것이다. 말의 차이

               에 불과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의도는 분명하다. 반야지혜를 내외명철
               과 언어적 친연성이 있는 대원경지로 옮기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

               로써 제8식 아뢰야식의 멸진으로 구현되는 대원경지를 내외명철의 설

               법과 바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지혜관조=대원경지=견성=해탈=무념의
               등식에 내외명철의 항목이 추가된다.

                 내외명철은 뚜렷한 실경체험이라는 점에서 성철스님에게 중요하다.
               반야지혜로 관조한다는 것은 이원사유를 벗어나 불이중도의 눈으로 본

               다는 뜻이다. 자아와 대상 세계의 분할, 지옥과 극락의 구분, 중생과 부

               처의 차별이 없는 실상에 안착하는 것이다. 그것은 불이론의 상식이라
               서 대부분의 수행자들은 자신이 이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원경지도 실경이고, 반야지혜도 실경이며, 불이중도도 실경
               이다. 따라서 알고 이해하고 있다는 생각은 대부분 착각일 가능성이 높

               으며, 알고 이해함이 남아 있는 한 깨달음은 없다.

                 이처럼 알고 이해하는 일과 실제적 깨달음의 체험 간에는 넘을 수 없
               는 단층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뢰야식은 물론 관념조차 떨





               37) 『六祖大師法寶壇經』(T48, 0351a), “智慧觀照, 內外明徹.”
               38)  『六祖大師法寶壇經』(T48, 0351a), “智慧觀照, 內外明徹, 識自本心. 若識本心, 卽本解脫.
                  若得解脫, 卽是般若三昧, 卽是無念.”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