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퇴옹학보 제18집
P. 92

92 • 『퇴옹학보』 제18집




               이 점에서 반야는 단순하게 무지로만 설명되지 않고, ‘無知=知’를 통

            해 無知는 다시 知로 소환된다. 즉 “반야는 무지이기 때문에 알지 못하
                                                        80)
            는 것이 없다. 무지의 앎을 곧 일체의 지라고 한다.” 는 것이다. 따라서
                                   81)
            “知가 무지이고 무지가 知” 인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무지를 다시 知로 불러들일 수 있는 것은 반야의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이다. 즉




                 “ 반야는 유를 유로 여기지 않습니다. 유를 유로 여기지 않기 때문
                  에 유는 유가 아닙니다. 유는 유가 아니기 때문에 무는 무가 아닙

                  니다. 무는 무가 아니기 때문에 성인은 유도 아니고 무도 아닙니
                  다. 유도 아니고 무도 아니므로 그 신묘함은 텅빈 것입니다.”            82)


                 “ 오묘하고 형상이 없으므로 있다고 할 수 없고, 쓰면 쓸수록 더욱

                 무궁하므로 없다고 할 수 없다. 없다고 할 수 없으므로 성인의 지
                 혜는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명교는 사라진다.”             83)


               즉 반야는 언어나 형상으로 특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無의 특징이 있

            지만 무궁한 관조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無라고 할 수 없으므로, 집착





            80) 「般若無知論」(T45, 1858), “聖心無知, 故無所不知. 不知之知, 乃曰一切知.”
            81) 「般若無知論」(T45, 1858), “知卽無知. 無知卽知.”
            82)  「般若無知論」(「劉君致書覈問」)(T45, 1858), “聖心不有有. 不有有, 故有無有. 有無有故, 則
               無無. 無無故, 聖人不有不無. 不有不無, 其神乃虛.”
            83)  「般若無知論」(T45, 1858), “微妙無相, 不可爲有, 用之彌勤, 不可爲無. 不可爲無, 故聖智存
               焉, 不可爲有, 故名敎絶焉.”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