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고경 - 2018년 8월호 Vol. 64
P. 52

(완적阮籍)·혜숙야(혜강稽康)·산거원(산도山濤)·상자기(상수向秀)·
                유백륜(유령劉伶)·완중용(완함阮咸)·왕준충(왕륭王戎) 등을 죽림의

                명사라 보았다. 또 배숙칙(배해裵楷)·악언보(악광樂廣)·왕이보(왕
                연王衍)·유자숭(유개庾凱)·왕안기(왕응王應)·완천리(완첨阮瞻)·위

                숙보(위개衛玠)·사유여(사곤謝鯤) 등을 중원(서진)시대의 명사로 삼
                았다.” 20)



             동진시대(317~420)를  살았던  원굉이  나눈  현학의  단계는  정시시기

           (240~249) 현학; 죽림시기(255~262) 현학; 서진시기(265~316) 현학 등이다.
           이  구분에는  원굉  자신이  살았던  동진시대와  그  이후의  남북조시대
           (439~589)가 빠져있다. 동진·남북조시대는 현학과 불학이 서로 사상적 영

           향을 주고받았던 시기였고, 특히 『조론』이 “위진현학의 종결이자 중국불교

           철학의 시작을 알리는 저작”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인물·사
           상·시기 각각의 관점에서 중심인물로 하안·왕필 → 혜강·완적 → 배
           위·곽상郭象 → 승조·도생道生; 사상적으로 하안·왕필의 귀무론貴無論

           현학 → 완적·혜강의 자연론自然論 현학 → 배위의 숭유론崇有論 현학·곽

           상의  독화론獨化論  현학  →  승조의  비유비무론非有非無論(중도사상  즉  반야
           학)·도생의  열반학涅槃學;  시대적으로  정시正始시기현학(240~249) → 죽
           림竹林시기현학(255~262) → 원강元康시기현학(291~299) → 불학佛學주도시











           20)  [南朝宋]劉義慶著·張萬起等譯注, 『世說新語譯注』, 北京:中華書局, 1998, p.241.



           50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