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고경 - 2018년 9월호 Vol. 65
P. 31

9)
                와 비유가 대개 이와 같았다.”  (강조는 필자)

              구마라집이 특히 고심한 번역이 운문임을 알 수 있다. 범어의 운문 형태

            는 다양한 데 대표적인 것이 슈로카śloka다. 수로가首盧迦로 음역한다. 1

            구 8음절을 4구 연결하면 32음절이 된다. 이것을 ‘1슈로카’라 한다. 슈로카
            의 모든 음절들은 장음長音 혹은 단음短音이라는 길이를 지닌다. 음절의 장
            음과 단음의 조합으로 운율이 정해진다.             10)

              중국 시는 크게 [1]근체시近體詩와 [2]고체시古體詩로 나눌 수 있다. 자

            수字數·구수句數·평측平仄·용운用韻 등을 비교적 엄격하게 적용한 시를
            근체시, 규정에서 벗어나 비교적 자유롭게 쓴 시를 고체시라 부른다. [1]근
            체시(금체시今體詩라고도 한다)는 당나라 때 과거시험이 시행되면서 틀이 잡

            혔다. 여기에는 ①율시律詩 ②배율排律 ③절구絶句 등 세 종류가 있다. ①일

            정한 격률格律에 의거해 쓴 시가 율시인데, 8구로 되어 있는 한시체漢詩體를
            율시律詩라 한다. 한 구가 다섯 자로 되어 있는 것은 오언 율시, 일곱 자로
            되어 있는 것은 칠언 율시다. ②배율은 10구 이상으로 구성된 율시다. ③

            절구絶句는 기·승·전·결의 4구로 이뤄지는데, 한 구가 다섯 자로 된 것

            이 오언절구(글자 수는 20자), 일곱 자로 된 것이 칠언절구(글자 수는 28자)다.
            [2]고체시는 고풍古風이라고도 한다. 당나라 때 근체시가 탄생된 후에도 시






            9)  “ 初沙門僧叡, 才識高明, 常隨什傳寫. 什每為叡論西方辭體, 商略同異, 云: ‘天竺國俗, 甚重文製, 其宮
              商體韻, 以入絃為善. 凡覲國王, 必有贊德. 見佛之儀, 以歌歎為貴, 經中偈頌皆其式也. 但改梵為秦,
              失其藻蔚, 雖得大意, 殊隔文體. 有似嚼飯與人, 非徒失味, 乃令嘔噦也.’ 什嘗作頌贈沙門法和云: ‘心
              山育明德, 流薰萬由延. 哀鸞孤桐上, 清音徹九天.’ 凡為十偈, 辭喻皆爾.” [南朝梁]釋慧皎撰·湯用彤
              校注, 『高僧傳』, 北京:中華書局, 1992, p.53.
            10)  산스크리트어의 운율에 대해서는 다음 책을 참고하라. 찰스 필립 브라운 지음·박영길 옮김, 『산스

              끄리뜨 시형론 - 운율 및 숫자적 상징에 대한 해설』, 서울:도서출판 씨아이알, 2014.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