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고경 - 2018년 9월호 Vol. 65
P. 33

운모는 다시 운두韻頭+운복韻
                                               腹+운미韻尾의 세 부분으로 나뉜
                                               다. 娘[낭. niáng]에서 성모 [n]을

                                               뺀 [iáng]이 운모다. 이 가운데

                                               [i]는 운두, [á]는 운복, [ng]는 운
                                               미다. 운두나 운미는 없을 수 있
                                               지만 운복은 반드시 필요한 ‘근본

                                               음’이기에 ‘주요원음主要元音’이라

                                               한다. “운韻이 같다”는 말은 운모
                                               의 운두·운복·운미의 세 부분
                                               가운데 운복과 운미가 같다는 의

                                               미다. 같은 운자韻字에 속한 글자
                       사진 4.  창비에서 나온
                                  『중국 불경의 탄생』.  를 동운자同韻字라 한다. 압운했
                                               다는 것은 같은 운자를 사용했다
            는 뜻이다. 보통 시의 1행·2행·4행의 끝 글자의 운을 맞춘다. 당나라 때

            는 206운이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된 운자는 112운이었다. 원나라 이래 통

            폐합되어 106운만 남게 되었다. 따라서 106운이 통상적으로 일컫는 시
            운詩韻으로 지금까지 연용延用되고 있다.             13)
              성조聲調는 평平·상上·거去·입入의 사성四聲으로 나누고, 이를 유사

            성에 따라 분류한 것이 운이다. 고전 한자의 경우 평성平聲·상성上聲·거

            성去聲·입성入聲으로 성조를 나눴고, 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을 측





            13)  왕력 저·송용준 역주, 『중국시율학 1』, 서울:소명출판, 2007, pp.22∼23.



                                                                        31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