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고경 - 2018년 9월호 Vol. 65
P. 35

완전히 어긋나고 만다. 마치
                                                 밥을 씹어 남에게 주는 것처
                                                 럼 맛도 없고, 먹는 사람을 토

                                                 하게  만든다.”고  비분강개

                                                 해(?)  말했는지도  모른다.
                                                 남송의 요면(姚勉. 1216∼1262)
                                                 이 「증준상인시서贈俊上人詩序」

                                                 에서 “한나라 스님들은 경전

                                                 을 번역했고, 서진·동진의
                                                 스님들은 강의를 했으며, 양
                                                 나라와 북위부터 당나라 초기

                                                 까지의 스님들은 선禪을 수행
            사진 5.  불교시대사가 선보인 『불교경전 성립의 연구』.
                                                 했으나 시詩는 없었다. 만당晩
                                                 唐 때 선禪이 번성하고 시詩도
                                                                  16)
            크게 흥성했다. 송나라에 들어와서도 시는 크게 유행하고 있다.” 고 말했
            는데, 각 시대의 불교적 특징을 상징적으로 압축한 그의 말은 큰 틀에서 역

            사적 사실과 어긋나지 않는다.
              아무튼, 번역은 결코 쉬운 작업은 아니다. 적확한 단어와 의미 하나를
            찾기 위해 역경승들은 머리를 싸매며 고민했다. 지금 우리가 읽는 한역 경

            전들은 그들의 고뇌의 산물이다. 역경자의 고뇌와 역경의 의미를 마음 깊







            16) “ 漢僧譯, 晉僧講, 梁魏至唐初僧始禪, 猶未詩也. 唐晩禪大盛, 詩亦大盛. 吾宋亦然.” [南宋]姚勉著·
               曹詣珍/陳偉文校點, 『姚勉集』, 上海:上海古籍出版社, 2012, p.423.



                                                                        33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