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고경 - 2019년 1월호 Vol. 69
P. 49

이들 경전은 모두 붓다를 관
            상觀想하기 때문이다. 반주般
            舟는  범어  ptatyutpanna의

            음역이다. ‘붓다가 서다[불립佛

            立]’ 혹은 ‘붓다가 바로 앞에 나
            타나다[불현전佛現前]’는 의미다.
            만약 반주삼매에 들면 바로 눈

            앞에 ‘여러 붓다가 서 있는 것’

            을 볼 수 있으며, 그래서 가르
            침을  받고,  신속하게  최고의
            지혜를 증득하게 된다고 경전

            은 설명하고 있다. 특히 아미

            타불을  관상하는  관법觀法을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다. 『관                     혜원 스님의 저서 『북종선』.
                                                 운주사에서 출판됐다.
            무량수경』은 설명하지 않아도
            제목에서 내용을 알 수 있다.

              대승선법의 특색을 무엇보다 잘 설명하고 있는 경전은 『유마경』인데,
            「제자품」에 나오는 좌선을 설명하는 단락은 압권이다. “사리불이시여! 이
            렇게 앉아 있는 것이 반드시 좌선을 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몸과 마음의 작

            용이 삼계三界에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좌선입니다. 멸진정滅盡定을 일으키지

            않고도 온갖 위의威儀(행·주·좌·와)를 나타내는 것이 좌선입니다. 진리의
            가르침을 버리지 않고도 세속의 일상생활을 드러내는 것이 좌선입니다. 마
            음을 안으로 집중하지도 않고 밖으로 분산시키지도 않는 것이 좌선입니다.

            여러 가지 견해에 대해 옳으니 그르니 분별하지 않고 37도 품을 수행하는



                                                                        47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