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고경 - 2019년 2월호 Vol. 70
P. 144

힘든 것이 바로 사물의 본성이라네! 그렇지만 스스로를 억제하지 못해,

           간략하게나마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음의 관계·도리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어찌 내 말이 반드시 옳다고 하겠는가! 시험 삼아 말해 보겠다.



             [주석 3-1. 혜달소] ① 後段, “然即動靜未始異”者, 結宗也. 第二科, “而惑

           者”下, 明所由. 有三段, 初、明辨理者不同, 而“或者不同”句, 亦可屬上, 亦
                         68)
           牽於下; 次、明道 相反; 後、明所為人也. “真言滯於競辨”者, 佛言無當, 而
           滯於偏執也. “宗途屈於好異”者, 理無二途, 而屈於是非, 即是於諦義也. 所
                                                  69)
           以求那法師偈云: “諸論各異端, 修行理無二.”  偏執有是非, 達者無違諍
           也. 次, “何者”下, 明道俗相反, 教亦相違.
             ① 세 번째 부분 “그러한 즉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음은 서로 다른 것

           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구절은 주장을 결론지은 것이다. [2]두 번째 단
           락은 “어리석은 사람은” 이하로 까닭을 밝힌 부분이다. 세 부분으로 나

           뉜다. ㉠첫 번째 이치가 같지 않음을 구별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은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음이 완전히 별개라고 생각한다.”라는 구절은 위에

           붙여도 되고, 아래에 귀속시켜도 된다. ㉡두 번째 진리와 세간의 인식이
           상반됨을 밝혔다. ㉢세 번째 진리를 행하는 사람이 다름을 명확히 했다.

           (이하는 ㉠부분) “참된 말이 논란에 휩싸였다.”는 부처님의 말씀과 부합되
           지 않고 편향된 생각에 걸렸다는 것이다. “삿된 견해를 좋아하는 사람들

           이 진리를 왜곡했다.”는 이치에는 두 가지 길이 없지만 (이치가) 옳고 그름







           68)  ‘도道’ 다음에 ‘속俗’자가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바로 아래 구절에는 ‘속俗’자가 있기 때문이다.

           69)  『고승전』 권제3 「구나발마전求那跋摩傳」에 나오는 구절이다.


           142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