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50

문자와 책의 향기 6



                    현학玄學과 불학은 무슨 관계인가



                                               화중우火中牛 | 불교학자·자유기고가





                                      초기 중국불교를 이야기 할 때마다 등장

                                   하는 용어 가운데 하나가 ‘현학玄學’과 ‘격의格
                                     1)
                                   義’ 다. 전한 말 후한 초 전래된 불교가 중국
                                   이라는 대지에 본격적으로 뿌리는 내린 때가
                                   후한 말에서 위진(魏晉, 220~420) 시기였다.

                                   당시 유행한 학문적 경향이 현학이었다. 중
                                   국불교를 대표하는 저작 가운데 하나인 승조

                                   (僧肇. 384∼414)의 『조론』은 - 중국철학의 발
                                   전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면 - “위진 현학
            세창출판사의 『위진현학사(상·하)』.
                                   의 종결終結이자 중국 불교철학의 시작을 알
                     2)
           리는 저작” 이라고 흔히들 평가한다. 위진남북조시대 당시 사상계의 흐
           름을 비판적으로 종합해 ‘현학’에서 ‘불학’으로 물줄기를 돌린 저술이 『조
           론』이라는 것이다.








           1)  현학과 격의 그리고 불교를 함께 다뤄야하지만 편의상 이 글에서는 현학과 불학의 관계만 논의한다.
             격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별도로 소개할 예정이다.

           2)  湯一介著, 『郭象與魏晉玄學』(第三版), 北京:北京大學出版社, 2009, p.31; 張岱年主編, 『中國哲學大辭
             典』, 上海:上海辭書出版社, 2014, p.155.


           148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