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 고경 - 2019년 7월호 Vol. 75
P. 126

즉 유정의 조직 및 활동의 관계를 다양한 입장에서 관찰하여,

                주요소와 종속요소가 차례로 관련된 결과가 곧 12지로 되었다
                고 이해해야 한다.”(木村 前揭書)



             여기에서 기무라는 12지연기의 각 지분의 배열은 반드시 시간적인 순

           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부분은 동시에 상호를 규정하
           는 의존관계를 나타낸다고 서술하고 있다.



                                           [p.123-8]한편 우이는 오늘날 차연
           우이의 전면적 상의설
                                         성(此緣性, idapaccayatā)으로 표현되는
           것을 ‘상의성’으로 번역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각 지는 조건인 동시에 피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지는 이 점에서 상호 예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상관적相關的이라는 말을 사용
                               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결코 조건과 피조건의

                               관계가 자유롭게 서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우이 하쿠주.
                               의미하지는 않는다. 각 지는 하위의 지에 대

                하여 항상 조건으로 피조건이 되는 일은 없고, 상위의 지에 대하
                여 피조건일 뿐 조건인 일은 없다.”(방선 인용자, 「인연의 해석」)



             우이는 이 인용부분 바로 다음에, 니카야에 있어 ‘식⇔명색’ 등 상호의

           존이 설해지는 예를 거론하면서도 “결코 조건인 경우가 그대로 동일 사정



           124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