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고경 - 2019년 9월호 Vol. 77
P. 63

『   』 제77호                      『삼국유사』에 나온 이야기의 총
              키워드로 읽는 『삼국유사』 3
                                           편수 138편 가운데 편당 분량이 많
                                           은 세 편은 「기이편」의 태종춘추공,

                                           후백제 견훤, 그리고 「의해편」의 원
            일연 스님이                         광서학圓光西學이다. 그런데 이 세 편

            사랑한 인물                         에서 실질적으로 다루는 인물의 비
                                           중을 보면 원광서학 조를 제외하고
            김유신
                                           제목의 주인공보다는 그 시대의 여
                                           러 인물들이 고루 등장하고 있다. 태
            오세연                            종춘추공 조는 특히 심해서, 눈에 띄
            자유기고가
                                           는 인물은 김유신, 성총과 더불어 당

                                           나라 소정방 등이고, 후백제 견훤 조
                                           에서는 오히려 고려 태조 왕건이 두

                                           드러진다.
                                              그런데 전체를 아울러 살펴보면

                                           가장 많이 다루거나 언급되는 인물
                                           은 단연 김유신이다. 김유신은 따로

                                           한 편을 차지함은 물론이고 태종춘
                                           추공의 시작 역시 차지하는데, 심지

                                           어 당 고종이 무열왕의 칭호를 태종
             오세연   줄곧 불교출판계에서 일해 왔으        으로 하는 것을 힐문할 때 “신라는
             며, 현재 나라연 기획사를 운영하고 있         비록 작은 나라이나 성신聖臣 김유신
             다. 2012년 남인도 법회에서 달라이라
             마를 친견한 후 티베트불교를 공부하고          을 얻어 삼국을 통일하였기 때문에
             있으며, 닝마파의 수행법인 『보현밀의총
             집전행』을 공동으로 번역하고 있다.           태종으로 봉한 것”이라 대답했다고



                                                                        61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