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고경 - 2019년 9월호 Vol. 77
P. 89

사람으로 북지에서 삼론을 배우고 이어 강남으로 가서 종산 초당사에 머

            물면서 은사 주옹에게 사사하였다. 양무제는 승랑의 법을 듣고 승정僧正
            지적智寂 등 10인으로 하여금 삼론을 배우게 했다. 승랑은 ‘섭산고려낭대
                                     3)
            사攝山高麗朗大師’로 호칭했다.”
                                        4)
              나중에 출판된 한국어 번역본 에도 이 부분이 틀리지 않고, ‘승랑은
            ……은사 주옹에게 사사하였다(僧朗は……隱士周顒に師事した)’라고 되어
            있다.

              ③ 십수년 지나 1999년에 출판된 전집의 『중국불교사』 제6권에는 또
            다르게 설명되어 있다. “승랑이 북토北土에서 남토南土로 들어와 종산 초

            당사에 머물렀는데, 은사 주옹은 승랑에게 삼론을 수학受學하였다는 길장
            의 저술 『대승현론大乘玄論』(T45, 19b)의 기록을 인용한 이후, 주옹이 과연

            승랑에게 사사師事했는가 아닌가는 분명하지 않지만, 주옹과 승랑 간에
                                           5)
            교류가 있었던 것은 확실할 것이다.” 라고 하였다.


              동일한 저자가 세 저서에서 모두 다르게 설명한 것이다. 20여 년의 시

            차를 두고 출판된 세 저서에서, 먼저 단행본 『중국불교사』에는 승랑과 주
            옹의 사제관계를 ‘승랑→주옹’, 중간의 『조선불교사』에는 반대로 ‘주옹→

            승랑’으로 바꾸어 말한 뒤, 나중 전집의 『중국불교사』에는 승랑과 주옹의
            수학 여부가 분명하지 않다고 하였다. 저명한 불교학자가 고의로 그렇게

            설명한 것이 아니라면, 그렇게 설명하게 만든 요인들이 그 배후에 이미





            3)  鎌田茂雄, 『朝鮮佛敎史』, 東京大學出版會, 1987, p.26.

            4)  鎌田茂雄, 『韓國佛敎史』, 申賢淑譯, 民族社, 1988, p.37.


            5)  鍾田茂雄, 『中國佛敎史』 제6권, 『隋唐の佛敎』 (下), 東京大學出版會, p.536.

                                                                        87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