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고경 - 2019년 9월호 Vol. 77
P. 97
『 』 제77호 『고경』 76호에서 제로0[=空]의 대
허암 거사와 배우는 유식 13
발견에 버금가는 것이 ‘아뢰야식의
발견’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아
뢰야식의 글자적인 의미인 ‘저장
아뢰야식 ālaya’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했습니
이해하기 다. 즉 아뢰야식은 우리가 행위한 결
과인 모든 종자를 저장하는 마음이
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저장’에는 3
허암
가지 측면[삼장三藏]이 있습니다. 다
불교학자
유식 시 말해 아뢰야식의 저장 기능에는
3가지[능장, 소장, 집장]가 있다는 것
입니다. 먼저 관련 구절을 살펴봅시
다.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
론』에서 삼장三藏에 대해 다음과 같
이 말합니다.
아뢰야식은 저장하는 마음이다
“초능변식[아뢰야식]은 대승
과 소승의 가르침에서 아뢰
허암 유식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 야<식>[저장하는 식]이라고 한
다. 저서로는 『유식삼십송과 유식불 다. <왜냐하면> 이 식은 능장,
교』·『마음공부 첫걸음』·『범어로 반야
심경을 해설하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 소장, 집장의 의미가 있기 때
는 『마음의 비밀』·『유식불교, 유식이십
론을 읽다』 등이 있다. 문이다. <능장과 소장의 의미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