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고경 - 2019년 10월호 Vol. 78
P. 124

해 성립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것들 B, C, D, E … 의 갖가지 조

           건의 존재방식은 무상이다. 각각 ‘일정불변하지 않다.’ 그런 까닭에 이것
           들 무상한 갖가지 조건에 의해 성립하는 A는 무상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

             이 이유라면 각각 무상한 조건B와 조건C, 조건D, 조건E 등이 연기한
           결과로서 A의 무상이 있는 것같이 보인다. ‘연기→무상’의 인과관계가 논

           증된 같이 보인다.
             하지만 더욱 “그것들 조건B, C, D, E … 가 무상인 원인은 무엇인가”라

           고 물으면, “조건B … 를 성립시키는 갖가지 조건이 무상인 까닭에”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 즉 이 설명은 단적으로 무한후퇴에 빠지는 것이다.



             반격하는 후나하시 잇사이

             사이구사의 논난에 대하여 후나하시는 『니카야』의 내용을 인용하여 반
           론한다.



                “‘무상’과 ‘유위’와 ‘연이생’이 동의어로서 설해지는 예를 들 수

                가 있다. 이와 같은 예는 초기불교에서는 극히 일반적인 것이
                다.”(舟橋<3>[상])



             이 인용문에서 후나하시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연이생’이다. 이것은

           팔리어 파티차 삼판나를 원어로 하며, ‘연기소생’ ‘인연소생’ ‘연생’ 등으
           로도 번역된다. 의미는 ‘연에 의해 생긴 사상事象’으로, ‘연기의 결과’라고

           도 할 수 있다. 본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연이생緣已生’의 역어를 채용한
           다. 덧붙여 말하면, 후나하시가 무상과 ‘연이생’의 동의어로 간주하는 ‘유

           위’의 본뜻은 ‘함께 만들어진 것’이다.



           122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