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03
있다.
이렇게 아공과 법공을 체득하면 유루有漏의 번뇌에 덮여 있던 아뢰야
식, 말라식, 육식, 전오식의 번뇌가 해소되어 네 가지 지혜로 전환된다.
곧 아뢰야식은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보는 지혜인 대원경지大圓
鏡智로 전환되고, 말나식은 자기중심적 집착을 버리고 나와 남을 평등하
게 바라보는 평등성지平等性智로 전환된다. 그리고 육식은 제법의 본성을
잘 분별하는 묘관찰지妙觀察智로 전환되며, 전5식은 다섯 가지기관으로
행하는 일들을 바르게 이루게 하는 성소작지成所作智로 전환된다. 원효 스
님은 성소작지는 부사의한 일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부사의지不思議智라
고 평가했다.
결국 법상종에서 말하는 팔식설의 결론은 팔식을 설명하는 것에 초점
이 있는 것이 아니라 팔식의 속박을 규명하고 그것으로부터 해탈하는데
있다. 전식득지轉識得智, 즉 인간을 속박하는 식을 전환하여 지혜를 얻는
것이 팔식설의 핵심이다.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