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05
자 주옹을 가르치고 또 모여든 많은 사람들에게 강연하여 명성을 떨쳤으
며, 그 소식을 듣고 양나라 무제가 보낸 열 명의 학승에게 삼론을 가르쳤
다고 전한다. 정녕 그렇다면 승랑은 당시의 학자들과 학승들을 가르칠 만
한 삼론학설을 보유하였다는 말인데, 과연 그것은 어떤 사상 어떤 삼론학
설이었을까?
2. 최초의 연구자
삼론학을 취급한 많은 학자들이 승랑의 수학受學과 사제師弟 문제에 대
한 의심과 반론으로 오랜 세월을 소모하였기 때문에, 그 많은 연구 저서
와 논문에서 승랑의 학설을 찾으려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삼론학설을 연구한 학자들은 여럿 있었어도, 승랑의 삼론학설에
대한 연구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
승랑의 삼론학설을 연구한 최초의 삼론학자는 전 동국대 김인덕(金仁
德, 1935-1999) 교수이다. 여러 학자들이 오랜 세월 승랑의 수학과 사제 문
제에 집중하여 온갖 자료와 사량思量을 동원해 많은 주장과 반론을 쏟아
낸 논란의 자리에서 비켜난 대신, 홀로 전승 기록을 믿고 거기에 의지하
여 승랑의 삼론학설을 연구하여 일궈낸 귀중한 결과이다.
3. 개요
승랑의 삼론학설을 연구하여 발표한 김인덕 교수의 논문은 세 편이
남아 있다. 먼저 승랑의 학설에 관한 설명을 현존하는 여러 저술에서 발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