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04
『 』 제79호 8. 승랑의 삼론학설
삼론학 강설 11
1. 연구 과정
승랑의 수학 사실이 1929년부터
섭산의 일본학자에 의하여 의심되기 시작
삼론학 시조 하고, 1976년 간행된 저서에서 보다
역설적인 사승문제가 제기되면서,
승랑 3
승랑의 수학과 업적은 의심되고 부
정되어, 여러 학자들의 저서에서 축
박상수
소되거나 왜곡되고, 심지어 전승 기
불교학자
록과 정반대의 주장까지 등장하며
번역저술가
평가절하 받았다.
이후 전승 문헌과 같은 내용의 기
록이 1990년 일본에서 추가 문헌에
의거하여 발표되었고, 2004년 이후
국내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이 발표
되어, 승랑대사의 수학과 사승문제
의 실상이 점차 알려지게 되었다. 그
렇게 승랑의 수학과 사승문제의 논
박상수朴商洙 동국대 불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용수龍樹의 화엄사 란이 일단락되면, 그 다음 다른 문제
상華嚴思想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동국대
불교학과 강사 역임. 동국대에서 『한국불 가 발생한다.
교전서』 제13권과 제14권(『유가사지론
승랑은 중국 북지에서 구마라집
기』) 공동 교정 편찬. 고려대장경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돈황불교문헌 공동 연구. 의 직계 제자 팔숙八宿의 문하에서
번역서로 『삼론현의三論玄義』와 고려대장
경의 한글 번역본 몇 가지가 있다. 수학하고, 이후 남지에 와서 은둔 학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