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10
중도二諦合明中道를 전개하게 된다.
④ 삼종중도론三種中道論
삼종중도三種中道는 진제眞諦와 세제世諦(俗諦)의 이제二諦와 제삼제第三
諦에 기초하여 변증 성립된 세 가지 중도, 곧 세제중도世諦中道 진제중도眞
諦中道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의 세 가지 중도로써 설명하는 학설이다.
삼종중도론은 내용이 복잡하고 장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바가 없지
않다. 그럼에도 여러 삼론학설 가운데 가장 정점에 위치하는 이론理論이
라 볼 수 있다. 반야공般若空의 귀취歸趣를 이치적으로 설명한 빼어난 학
설이며, 공설空說의 원조元祖 중관학파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공유空有논
의의 종착지이기도 하다.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이 역시 승랑에게서 발원한 것으로 보이는데,
일단 제한되어 있는 듯하다. 삼종방언三種方言이라 하여 삼종중도를 설명
하는 방식에 세 가지가 있다고 하였는데, 논문의 발표자인 저자는 제1방
언第一方言만 연구하고 그 이후는 계속하지 못하고 타계하였다. 다른 나라
연구자 중에는 승랑과 연관 짓지 않았지만, 최소 제1방언이라도 승랑에
게서 설해졌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4. 지향하는 메시지
이렇게 전해지는 승랑의 학설을 연구 성취하는 과제와 더불어 승랑의
학설이 지향하는 메시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삼론의 학설은 그 설명이 유연하지 못하여 건조하고 딱딱한 감이 있
고, 여기저기 산발적으로 설명되어 있어 일목요연하게 찾아보기 불편한
점도 있으며, 승랑 이후 길장까지 4대의 학설이 복합적 다중적으로 응축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