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12
『 』 제79호 독자들께서는 지난 호의 내용을
허암 거사와 배우는 유식 15
떠올려 보시면 좋겠습니다. 제8 아
뢰야식과 함께 작용하는 5가지 심소
[오변행] 중에서 촉觸과 수受에 대해
아뢰야식과 기술하였습니다. 계속해 이번 호에
5가지 심소[오변행] 2 도 나머지 심소인 작의, 상, 사에 대
해 설명하고자합니다. 그런데 『유
식삼십송』에서는 오변행을 촉, 작
의, 수, 상, 사의 순서로 기술하고
있습니다만, 필자는 그 순서를 바
꾸어 ‘작의’보다 ‘수’를 먼저 설명하
였습니다. 이유를 지난 호에서 간
허암
불교학자 단하게 설명했기 때문에 생략하겠
유식 습니다.
1. 작의(作意, manaskāra)
작의란 어떤 작용을 하는 심소일
까요? 작의란 간단하게 말하면 ‘마
음을 처음으로 움직여서 대상에 향
허암 유식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 하도록 하여 집중하게 하는 심소[마
다. 저서로는 『유식삼십송과 유식불교』· 음작용]’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필
『마음공부 첫걸음』·『범어로 반야심경을
해설하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음 자가 작의를 이렇게 정의한 근거를
의 비밀』·『유식불교, 유식이십론을 읽
다』 등이 있다. 제시해 보겠습니다. 논서의 내용을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