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고경 - 2019년 11월호 Vol. 79
P. 133
『 』 제79호 『삼국유사』는 전체 5권 2책으로
키워드로 읽는 『삼국유사』 4
되어 있고, 1·2권에 해당하는 기
이편은 고조선으로부터 후삼국까지
의 단편적인 역사를 57항목으로 서
흥법과 탑상, 술하였는데, 「기이편」의 서두에는 이
의해 편을 설정하는 연유를 밝힌 서敍가
붙어 있다.
제3권의 「흥법편」에는 삼국의 불
오세연
교 수용과 그 정착 과정에 관한 6항
자유기고가
목, 「탑상편」에는 탑과 불상에 관한
31항목, 그리고 제4권의 「의해편」에
는 원광서학조圓光西學條를 비롯한
신라의 고승들에 대한 전기를 중심
으로 하는 14항목, 제5권의 「신주
편」에는 신라의 밀교적 신이승神異僧
들에 대한 3항목, 「감통편」에는 신앙
의 영이감응靈異感應에 관한 10항목,
피은편에는 초탈고일超脫高逸한 인물
의 행적 10항목, 「효선편」에는 부모
에 대한 효도와 불교적인 선행에 대
오세연 줄곧 불교출판계에서 일해 왔 한 미담 5항목을 각각 수록하였다.
으며, 현재 나라연 기획사를 운영하고 이처럼 5권 9편 144항목으로 구
있다. 2012년 남인도 법회에서 달라이
라마를 친견한 후 티베트불교를 공부하 성된 『삼국유사』의 체재는 『삼국사
고 있으며, 닝마파의 수행법인 『보현밀
의총집전행』을 공동으로 번역하고 있다. 기』나 『해동고승전』과는 다른 특징이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