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7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37

『   』 제81호                      일본에서 근대불교학의 출발은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 | 일본 1
                                           1877년 설립된 관립 도쿄대학東京
                                           大學에서 2년 뒤인 1879년 ‘불서강

                                           의’라는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된 것
                                           을 기점으로 잡는다. 곧 근대적인 교
            메이지 유신과                        육기관으로서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

            폐불훼석                           려는 메이지 정부의 방침에 따라 설

                                           립된 도쿄대학에서 불교에 대한 강
                                           의가 최초로 열린 것이다. 그렇지만
            이태승 위덕대 불교문화학과 교수
                                           이렇게 개설되어 진행된 불교에 대
                                           한 강의는 당시 일본 사회의 풍조 속

                                           에서는 특이하고 의아스런 느낌을
                                           준 일대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

                                           시 말해 이 강의를 기점으로 일본의
                                           불교학은 이전의 시대와는 다른 새

                                           로운 불교학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만, 실제 근대의 출발로서 메이지유

                                           신明治維新 이래 불교강좌가 이루어
                                           지는 시점까지 불교계는 메이지 정

                                           부의 극단적인 탄압 속에 빈사瀕死
             이태승   일본 고마자와대학 박사, 전前 한
             국불교연구원 원장, 일본  인도학불교학         의 지경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거
             회 이사, 인도철학회 편집이사.  『실담자
                                           의 목숨이 끊어질 정도의 빈사의 상
             기悉曇字記와 망월사본 진언집眞言集 연구』(공
             저,  글익는들,  2004),  『을유불교산책』(정우서적,   태를 유지해온 불교계에 새로운 구
             2006), 『샨타라크쉬타의 중관사상』(불교시대
             사, 2012)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원의 빛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불교강



                                                                        135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