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48

이 세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도덕적 행위는 최대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여기에 반외세, 반봉건의 사회적 실천을 더한 현대신불교, 또는 현
           대신유학은 불교와 유학의 결합으로 서양 철학에 대응하며 새로운 근대

           철학을 모색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동양에서 ‘근대’란 단순한 시대 구분만은 아니다. 모든 동양

           근대사상의 기본 전제는 바로 서양사상과의 대결이며, 중국불교도 예
           외가 아니다. 중국 근대불교는 동서문화가 충돌하는 근대 시대에 서양

           사상과의 대결이라는 시대적 사명에 응답하여 다양한 모색을 시도하였
           던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작업들을 우리는 앞으로 자세히 살펴보게

           될 것이다.






































           146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