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9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49

『   』 제81호 | 문자와 책의 향기 8        모든 경전에는 나름의 의미와 재

                                           미가 있다. 읽다보면 빠진다. 그런
                                           데 『화엄경』만큼 매력적인 경전도 드

                                           물다. 방대한 분량에다 제목도 예사
            『화엄경』,                         롭지 않다. 원제목인 『대방광불화엄

            『화엄경청량소』,                      경』은 ‘화엄이라 불리는 광대한 경
                                           전’이라는 의미다.
            『화엄경소론찬요』
                                              중국어로 번역된 『화엄경』의 완전
                                           한 텍스트에 2종이 있다. 동진東晉

                                           의 붓다바드라(佛陀跋陀羅, 359-429)가
            화중우火中牛 불교학자·자유기고가
                                           418-420년 중국어로 옮긴 3만8천
                                           게송·34품·60권으로 구성된 『60

                                           화엄』·『진본晉本 화엄경』, 당나라

                                           시절 식샤난다(實叉難陀, 652-710)가
                                           695-699년 옮긴 4만5천 게송·39

                                           품·80권으로 이뤄진 『80화엄』·『당
                                           본唐本 화엄경』이 그것이다. 당나라

                                           시절인 798년 반야般若가 중국어로
                                           번역한 『40화엄』도 있지만 여기에는

                                           「입법계품」만 들어있다.
                                              티베트어로 번역된 것에도 1종

                                           이 현존한다. 지나미트라 등이 티베
                                           트 말로 옮긴 『화엄경』이다. 분석에

                                           따르면 중국어로 옮겨진 『화엄경』과



                                                                        147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