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84
어지는 체험이었다고 한다. 또, 의식이 몸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의식
이전에 몸이 세계를 감각하면서 그 세계에 맞추어 몸이 움직이는 것을 체
험했다고 한다. 그럼, 실제의 세계란 무엇인가? 실제의 세계는 과연 존재
하는 것인가?
피연생과彼緣生果의 연기론
법계의 모든 존재가 인연에 따라 생한다는 것을 인연생기因緣生起 혹은 연
기緣起라고 한다. 연기는 연緣에 기대어 결과가 만들어진다는 피연생과彼緣
生果의 의미를 갖는다. 인연因緣에서 인因은 직접적 원인이고 연緣은 간접적
조건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피연생과란 직접적 원인인 인因이
간접적 조건인 연緣에 기대어 과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연緣이 아니면
과果가 없다는 것이기도 하고, 연緣의 개입으로 인因은 과果와 같을 수 없다
는 것이기도 하다. 이숙異熟이다.
이처럼 연緣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불교의 연기론은 여타의 인과론과
다르다. 보통의 인과론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직접적 원인에만 거의 전적
으로 주목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어떤 불씨가 그 화재의 원인이었
는지를 찾아내려고 한다. 인화물질이 주변에 있어 불이 급속하게 번진 경
우에는 인화물질이 불씨 자체보다 오히려 더 중요한 화재의 원인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씨가 없었다면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인화
물질을 화재의 원인이라고 인정하지 않는다. 우리의 피상적 세계관이 반
영된 보통의 인과론이 취하는 입장이다.
불교의 연기론은 이와 상당히 다른 입장에서 인과를 바라본다. 하나의
씨앗이 싹이 되는 사건을 살펴보자. 싹이 나왔다는 것은 씨앗이 없었다면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