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고경 - 2020년 6월호 Vol. 86
P. 107

극한mtha’이다. 교리와 경전 그리고 불교 이론에 근거해 확립한 자기 교파의 주장이 이 보

            다 더 뛰어넘을 수 없는 정도에 이르렀다는 것, 그래서 자기 교파가 성취한 이론의 극한極
            限이자, 다른 교리 앞에서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확립된 ‘교의’가 grub mtha’다. 불교와 외
            도의 각 교파가 정립한 이론체계, 즉 견見·수修·과果에 대한 견해가 grub mtha’다. 번역에
            사용된 『장꺄교의론』의 저본은 Grub mtha’ thub bstan lhun po’i mdzes rgyan, pe cin:krung
            go’i bod kyi shes rig dpe skrun khang, 1989이다. ‘중관파 부분’ 가운데 극히 일부만 영어

            와 중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한편, 티베트어 표기법은 ‘와일리 시스템’을 따랐고 책 제목이
            나 인물의 경우 첫 음절의 주요 발음을 대문자로 표기했다.


                                                     1)
              [제85호에서 계속] 몇몇 사람들은 담빠상개 와 카체빤첸샤카(1127-
                2)
            1225)  두 사람이 동일 인물이라고 말한다. 이유는 정확하지 않아 보인다.
                             3)
            어찌됐던 [담빠상개가]  용수 보살의 직접적인 가르침을 받은 제자임은 인
            도의 역사서 몇 곳과 일치하므로 사실인 것 같다. 시체파 관점의 근원은
            반야경류般若經類와 연관되어 보이지만 가르침의 글자들[내용]에서는 용수

                                                     4)
            보살을 기준으로 삼고 있고, 마직랍존(1031-1129) 의 가르침 역시 중관귀
            류파와 일치하는 정도가 매우 크다. 그러나 시체파 가르침을 이어받은 제

            자들은 한동안 물고기와 무를 혼동했다[고기 눈알을 진주에 뒤섞었다. 옳고 그
                          5)
            름을 제대로 몰랐다] .







            1)  dam pa sangs rgyas. 인도에서 티베트에 들어온 인물로 1080-1127년 티베트에 머물렀다. 『반야경』
             의 가르침대로 수행해 생사·열반 등 모든 번뇌를 끊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를 계승한 파派가
             ‘시체빠zhi byed pa’다.

            2)  Kha che paN chen sh+’a kya shri.
            3)  [ ]는 원문에는 없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넣은 것이다. 이하 동일.


            4)  Ma cig lab sgron. 생졸년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있지만 대체로 1031-1129년으로 보는 주장들이
             많다. 담빠상개를 스승으로 모시고 많은 가르침을 들었다.

            5)  티베트어 nya dang nyung ma mang du bsres는 ‘어목혼주魚目混珠’라는 의미다.
                                                                        105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