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고경 - 2020년 6월호 Vol. 86
P. 121

소집성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견을 배척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외경

            [外境, 객관]에 기대어 객관과 주관이 언어상[개념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없
                                                                     53)
            다고 감손減損하고, 의타기성이 실제로 없는 데도 있다고 증익增益 하므
            로 상견과 단견의 어느 하나에 떨어졌다. 중관파의 관점만이 유변과 무변
            의 변견에 떨어지지 않고 상견과 단견의 잘못으로부터 벗어났지 다른 교

            파의 주장은 그렇지 못하다.
              덕을 구비한 존자 월칭이 지은 『명구론』에 “의타기성은 심과 심소에서

            나타난 사물정도임을 인정하고 거기에는 변계소집성의 자성이 없다며 유
            견有見을 떨치고, 의타기성의 사물 모두 번뇌와 청정의 원인이 되는 정도

            가 있다며 무견無見을 떨쳐버린다. 만약 그렇다면 변계소집성은 있는 것
            이 아니고 의타기성은 있는 것이므로 유견과 무견 둘 모두 있는 것이 되

            므로, 변견을 어떻게 없앨 수 있단 말인가?”와 “따라서 그처럼 중관파의
            관점만이 유견과 무견에 떨어지는 잘못이 없으며, 유식파의 관점 등은 그

            렇지 않다는 것을 알도록 하라.”고 나온다.
              용수 보살은 [『중관보만론』에서] “보특가라를 오온으로 말하는, 세간의 수
                               55)
                54)
            론파 와 나형파裸形派  등에 대해, 유有·무無를 떠났냐고 묻는다. 때문
            에 붓다의 가르침은 불사不死이고, 유와 무를 넘어선 의미가 깊은, 다른

                                56)
            것과 같지 않은 가르침” 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상견과 단견에서 벗어나
            고자 한다면 보특가라와 제법諸法은 연기적 존재이자 물에 비친 달과 같







            53)  ‘있는 것을 없다’고 하는 것을 skur ’debs[감손減損], ‘없는 것을 있다’고 하는 것을 sgro ’dogs[증익增益]
              이라고 말한다.
            54)  인도 고대 육파철학의 수론파를 말한다.

            55)  자이나교의 나형파를 말한다.

            56)  『중관보만론中觀寶鬘論』에 나오는 구절이다.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