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고경 - 2020년 6월호 Vol. 86
P. 51

상을 표현하고 나면
            배경 등에서는 비교
            적  자유로운  표현

            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산수·
            인물·화조  등  여
            러 화목이 한 화면

            에  자유로이  표현

            되어진다는 점에서
                               사진 1. 용광사 산신탱.
            상·중단이나 의궤
            성이 강한 탱화보다 자유스러우며 현실적인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이다.

              산신각은 사찰의 사료를 통해 볼 때 대부분 조선 중기 이후에 나타나고

            있고, 현존하는 산신탱화도 조선 후기 이전의 것은 거의 발견할 수가 없는
            것으로 보아 산신탱화를 사찰에 봉안하게 된 것은 조선 후기로 추정하고
            있다.

              불교에 있어 산신에 대한 개념의 근거는 『화엄경』에 있다. 화엄경의 「세

            주묘엄품」에 화엄법회에 동참했던 39위의 화엄신중 가운데 제33위에 엄연
            히 나타나 있다. 이와 함께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는 46위의
            대산왕大山王이 설해져 있는데, “이 대산왕들이 대지大地에 있고 각각의 중

            생들과 모든 권속들을 옹호하여 수명이 백년토록 장수하고 나쁜 일을 없

            애고 항상 길상만을 보고 모든 근심과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한다.”고 하
            며 이를 다시 게송으로, “저로 하여금 밤새도록 편안하게 하고 하루 종일
            편안하게 하며 모든 시간마다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 하시옵소서.”라고 하

            여 그 권능을 설하고 있다.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