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고경 - 2020년 8월호 Vol. 88
P. 44

念無初相이라 以遠離微細念故로 得                을 완전한 깨달음인 구경각이라고
           見心性하야  心卽常住일새  名究竟               한다.
           覺이니라. (『起信論』, 『大正藏』 32, p.576b.)




           【평석】 등각의 금강유정에서 근본                 * 등각 단계에서 금강 같은 삼매
           무명인 극미세망념을 단진斷盡하면                에 들어 근본적인 번뇌인 매우 미
           활연대오豁然大悟하여  진여본성을                세한 그릇된 생각을 완전히 끊으면

           통견하나니 이것이 구경각인 성불                홀연 크게 깨달아 참다운 본성을

           이다. 이는 대승불교의 총론인 『기              꿰뚫어 체득하나니 이것이 완전한
           신』에서 견성 즉 구경각이며 성불               깨달음인  구경각이자  성불成佛이
           임을 명증明證한 것이다.                    다. 이는 대승불교의 총론인 『대승

                                            기신론』에서 참다운 본성을 체득하

                                            는 것이 바로 구경각이자 성불임을
                                            분명하게 증명한 것이다.



           【강설】 공부하다가 기특한 소견이 생기고 기이한 경계가 나타나면 흔히 견

           성한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는데, 마명 보살은 불교의 총론이라 할 『대
           승기신론』에서 “10지 보살을 지나 등각의 금강유정에서 6추는 물론 3세의
           미세한 망념까지 완전히 끊어져야 그때 견성한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심성心性이 상주불멸하는 구경각 즉 묘각이 견성이지 그전에는 견성이 아

           니다. 10지 등각도 견성이 아니라 했는데, 하물며 전에 경험치 못한 기이
           한 경계와 기특한 소견이 조금 생겼다고 함부로 견성했다고 떠들어서야 되
           겠는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불제자라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종문의 표준인 『대승기신론』의 말씀을 저버리지 말라.



           42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