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고경 - 2020년 10월호 Vol. 90
P. 142
『 』 제90호 | 베르그송 철학에서 생명 개념 이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 | 중국 10
상으로 중요한 것이 직관주의라고 할
유식과 베르그송 철학의 만남 2
수 있다. 우주는 살아있는 생명의 유
기체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 우
주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물질을 대
현량·비량과 상으로 하는 분석적인 지성의 방법
직관의 대립 과는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생
명의 진리는 이성적, 분석적 인식인
지성으로는 파악할 수 없고, 오직 직
김제란 철학박사·고려대 강의교수
관으로만 가능함을 천명하였다. 철학
과 과학의 분기점이 바로 이 직관과
분석의 분기점이라는 것이다.
이지理智와 직관
그 이유로 베르그송은 지성은 유
동적流動的인 것을 싫어하고 자기가
접촉하는 것을 모두 고체화시키는
반면에, 생명이란 우리의 지성의 한
계를 넘어서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
김제란 철학박사. 현재 고려대 강의교 한다. “지성은 무엇을 하든 간에 유기
수 및 조계종 불학연구소 전문연구원. 고
화된 것을 비유기적인 것으로 분해한
려대 철학과, 지곡서당 한문연수과정 수
료,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
다. 우리는 불연속적인 것, 부동적인
임. 『웅십력 철학사상연구』, 『신유식론』
등 다수의 저서 및 번역서가 있다. 것, 죽은 것을 다루는 경우에만 자신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