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고경 - 2020년 12월호 Vol. 92
P. 134
『 』 제92호 | 중국 근대에서 유식불교를 추종하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 | 중국 12
는 학자들과 『대승기신론』을 옹호하
는 학자들 간의 논쟁은 많은 철학적
논의를 불러일으켰고, 보다 독창적인
제3의 길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그
불교와 유교 대표적인 예가 바로 웅십력의 『신유식
상즉과 상입 론新唯識論』과 그를 바탕으로 한 현대
신유학, 또는 현대신불교의 등장이
다. 웅십력은 유식불교를 비판하되
김제란 철학박사·고려대 강의교수
유식불교의 논리와 용어를 그대로 활
용하고, 전통 중국불교로 유학을 새
롭게 해석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본래의 마음’[本心], 또는 ‘우주
의 마음’[宇宙心]이라는 본체가 현상으
로 현현한다는 사상이다.
이러한 웅십력 철학은 『대승기신론』
과 철학적 성향이 일치한다. 현상계가
본체인 진심의 현현임을 말하는 진상
심 사상은 현상계의 모든 존재들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유학의 성
김제란 철학박사. 현재 고려대 강의교 선론 경향과 일치한다. 사람이면 누
수 및 조계종 불학연구소 전문연구원. 고
구나 진심, 자성청정심, 불성을 소유
려대 철학과, 지곡서당 한문연수과정 수
료,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
하고 있으므로 모든 사람이 부처가
임. 『웅십력 철학사상연구』, 『신유식론』
등 다수의 저서 및 번역서가 있다. 될 수 있다는 중국불교의 인식은 사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