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고경 - 2021년 5월호 Vol. 97
P. 88

향기로운 집 한 채가 아니랴
                                    - 「어느 하나 향기로운 집 한 채가 아니랴」 전문 -



            “뿌리마저 뽑혀 말라비틀어진 세상의 바닥”에 발붙이고 사는 시인의 생

          애는 “반은 잊혀지고, 그 나머지 반은 허전하다.” 반은 잊혀지고, 반은 허전
          한 생애는 아무 것도 아닌 생애다. 그런 생애의 바닥에 새, 비닐, 국화꽃, 가
          을 벌떼들이 날아와 어울려 산다. 다른 존재를 해코지 하거나 괴롭히지 않

          고, 자기가 필요한 것을 바닥에서 찾으며 살아간다. 낡아 빠진 비닐마저 간

          혹 허리를 펴고 자신을 자랑한다. 벌들은 ‘진언眞言’을 소리 높여 외우며 극
          락전을 짓는다. 벌들이 내는 “윙윙”소리는 ‘입으로 지은 나쁜 업業’을 씻어내
          는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이다. 구업口業을 깨끗이 하며 극락전을 짓는다. 벌

          들은 그렇게 가을 동안 공덕을 쌓아 겨울에 대비하고, 자신과 후대들이 먹

          을 꿀을 열심히 모은다. 꿀을 모으는 것이 극락전을 건립하는 불사佛事다.
          결국 시인은 그런 현상 속에서 “그냥 막 살아 온 것 같아도/ 어느 하나/ 향
          기로운 집 한 채가 아니랴”며 뛰어난 ‘승의의 진리[勝義諦]’를 체득한다. 시인

          은 빈 밭고랑에 쪼그리고 앉아 제행무상을 넘어선 승의제를 몸으로 깨닫는

          다. “그냥 막 살아온 것 같은 인생”도 실은 ‘진리의 현현顯現’임을, 모든 존재
          는 그 자체로 의미 있음을 증득證得한다.
           그래서 시인도 점차 원만한 인격을 가진 존재로 변한다. 「독도여래」, 「진

          짜 내 글씨 한 줄」, 「발밑을 보라」, 「지옥에서 쫓겨난 어둠이 걸어간다」, 「일

          면불 월면불」, 「학문은 항문이다」 등이 그런 과정을 노래한 시들이라 생각
          된다.



              고독하지 않으면



          86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