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고경 - 2021년 6월호 Vol. 98
P. 135

그는 불법의 무위無爲 속에서 활달하
             며 강직했다. 인정과 이타심 또한 두터웠
             다. 자신의 생활 리듬을 개의치 않고 강

             연이나 원고 의뢰도 거부하지 않았다.

             제자들에게 “나는 개척자로서 3, 4척尺
             앞을 대충 경작해 나가므로 후진들이 보
             다 깊게 파야 한다.”고 열린 마음으로 말

             했다. 또한 어떤 논제를 규명하고자 할

             때는 “먼저 문제 전체의 전망을 하라.”고
             했다. 자료 전체를 수집하여 단지 정렬
                                                   사진 4. 『해탈을 향한 길』.
             만 하는 것은 반드시 좋은 연구법은 아
             니다. “논문을 쓸 때는 가능하면 재료를 버려라.”라고 했다. 자신도 참고서

             를 제쳐놓고, 오직 원전 자료만으로 논을 세웠는데, 이는 사상의 독립을
             방해받지 않기 위해서였다.
               어쩌면 일본불교가 문헌중심의 연구로 폐쇄적인 연구풍토가 될 것을 염

             려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불교야말로 언어에도 매이지 않는 활달한 학문

             의 세계임에도 연구자들은 문자주의를 신봉한다. 오늘날 일본불교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이라고도 하지만, 상상력의 빈곤에 처해있다고 비판받는다.
             사바세계에서 활발발活潑潑한 삶을 불태웠듯 기무라는 우리에게 늘 창조

             적이며 개방적인 사고, 애초에 어디에 구속됨 없는 독존적 자유를 누리라

             고 일침을 놓고 있다.










                                                                         133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