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8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178

구양경무는 대장경 전체는 아니지만 대장경의 핵심적인 문헌을 추려 정밀
          하게 교감하고 교감주를 달아 정본을 확정 간행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장
          요』이다. 전체 3집으로 이루어진 『장요』는 73종, 400여 권의 불서를 포함하

          고 있으며, 제1집은 1929년, 제2집은 1935년, 제3집은 1985년 간행되었다.

          이때의 교감 작업에 여징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그는 많은 문헌의
          다양한 판본들과 다양한 번역본을 대조하였다. 구양경무는 산스크리트 원
          본이나 티베트역본을 읽을 수 없었고, 따라서 이러한 교감 편찬 작업들은

          여징이 주로 수행했다(사진 2).

           이처럼 여징은 스승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경전 교감과 유식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여징은 “나의 불교 지식은 구양경무에게 연원하지만, 내가 불
          교 연구에서 일정한 수준에 도달한 것은 구체적인 연구 과정을 통하여서

          였다. 나는 『장요』 편찬 당시 한문,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티베트어 등 각

          종 판본의 불전을 섭렵하였는데, 이 때문에 나의 불교 연구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는 1924년 창간된 지나내학원의 학술잡지인 『내
          학內學』에 문헌학에 기반을 둔 교리의 변천과 전개를 연구한 논문들을 다

          수 발표했다. “『잡아함경』 간정기”, “『현양성교론』 대의”, “『장엄경론』과 유

          식고학”, “티베트 전승 『섭대승론』” 등 대단히 정교하고 깊이 있는 글들이
          었다. 여징은 유식학이 초기불교의 전통을 잇고 있다고 생각하고, 유식학
          연구에 중점을 두었던 것이다.




            인명학의 부활


           여징은 1926년 『인명강요因明綱要』를 간행하였는데, 종宗·인因·유喩 삼지

          작법 등 인명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설명하였다. 삼지작법은 주장, 근



          176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