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33
본질/실체가 없다는 뜻’(空空之義)으로서 마치 ‘진짜 금’(眞金, 眞에 해당함)을
녹여 장신구(莊嚴具, 俗에 해당함)를 만드는 것과 같다. [이것은] 마치 『열반
경涅槃經』에서 <‘있는 것’(有)이기도 하고 ‘없는 것’(無)이기도 한 것을 ‘불
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空
空)라고 하고, ‘옳은 것’(是)이기도 하고 ‘그른 것’(非)이기도 한 것을 ‘불변‧
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空空)라
고 한다>라고 말한 것과 같으니, 이것은 ‘세속적 관점’(俗諦)에서의 있음(有)
과 없음(無), 옳음(是)과 그름(非)이라는 ‘차별된 차이’(差別之相)가 바로 ‘불
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는
뜻’(空空義)[이 드러난 것]임을 밝힌 것이다. ‘평등하게 불변‧독자의 본질/실
체가 없음’(平等空)에 대해서도 [그것을 다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
는 것’(空)이라고 하면서 ‘세속의 차이들’(俗差別)을 드러내는 것이니, 그러
므로 이러한 [세속의] 차이(差別)들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
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空空)[는 뜻이 드러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도 불변‧독자의 본질/실
체가 없다’는 것 또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空空亦空)라는 것
에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것도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空空)라는 것은 바로 ‘세속적 관점으로 보는 차이’(俗諦差別)[를 지칭하
는 것]이고, <또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亦空)라는 것은 다시 〈‘세
속[적 관점으로 보는 차이]’(俗[諦差別])를 녹여 ‘궁극[적 관점으로 보는 평등]’(眞[諦平等])
으로 만드는 것〉(融俗爲眞)이니 마치 장신구를 녹여 다시 금덩이를 만드는 것
과 같다.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세 가지 경지’(三空)의] 세 번째에서 말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어진 것 또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所空亦空)라는 것은,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면모 또한 불변‧독자의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