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58

‘불변‧동일의 본질을 지닌 실재’(실체‧본체)가 있다고 설한 적이 없다. 그런 동
          일성을 지닌 존재나 현상은 실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불변의 정신이

          나 아트만‧브라흐만은 인정하지 않고, 그 어떤 불변‧동일의 궁극실재를 체득
          해야 영원불변하는 깨달음‧해탈‧열반이 성취된다고 설한 적도 없다. 붓다가

          설하는 ‘풀려남의 자유’(해탈)와 ‘동요가 그친 평안’(열반)은 처음부터 끝까지 ‘관
          계 속에서 변화하는 차이들’과의 관계에서 구현된다. 그리고 그 차이들은 예외

          없이 언어에 연루되어 있다. 그런 차이(相)들에 대한 관점과 이해, 그런 차이들과
          의 관계방식 및 관계능력이, 무지와 번뇌, 속박과 풀려남, 오염의 동요와 청정의

          평안을 발생시키는 조건들이다. 육근수호六根守護 법설은 이 점을 명백하고 정확
          하게 알려준다.

           깨달음‧해탈‧열반 등 붓다의 법설이 지향하는 긍정 가치들은 처음부터 끝
          까지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 차이들과의 관계’에서 구현되며, 따라서 ‘차이들에

          대한 이해와 관계방식 및 관계능력’이 모든 향상수행의 목표이자 과정이다. ‘관
          계 속에서 변화하는 차이 현상’(相)에 대한 붓다 법설의 의미를 놓쳐 버리면 붓다

          법설에 대한 이해가 자칫 엉뚱한 길로 접어들게 된다. 그 엉뚱한 길에서의 혼란
          과 방황을 먹고 자라는 독버섯이 있다.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 차이 현상’(相)과는

          절연絶緣하고 ‘차이 현상 이면이나 그 너머에 완전한 궁극실재를 설정하는 신비
          주의 시선들’이 그것이다. 이런 시선들은 ‘변화하는 차이 현상’에 대한 불안함을

          떨쳐낼 수 있는 ‘불변의 완전한 실재’에 대한 이론과 그것을 체득할 수 있다는 수
          행론을 교학의 이름으로 수립한다. 아니면 붓다의 법설이나 기존의 교학을 그런

          시선으로 해석한다. 다양한 유형의 본체‧현상론은 그 대표적 사례인데, 『대승기
          신론』이나 원효 언어에 대한 이해에서도 빈번하게 목격된다. 성철이 구사하는 ‘불

          생불멸不生不滅’이라는 용어도 그러한 신비주의적 궁극실재에 대한 표현으로 간주
          하는 경우도 흔하다. 그러나 성철 자신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는 용어를, ‘상



          58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