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99

키지 않게 해야 한다>(不生無化)라는 것은, ‘허깨비 같은 [불변‧독자의 본질/실
                  체로 차별된] 차이’(幻化相)를 깨뜨리고 나서, 다음으로 ‘불변‧독자의 본질/
                  실체가 없는 차이’(空相)[마저 붙들지 않고] 버려서, 〈허망한 것을 없앤 ‘불

                  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음’〉(無化空)[을 다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보는
                  생각]에도 마음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생은 본래부

                  터 ‘마음은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에서 벗어나 있음’(心離相)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모든 유형의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諸

                  相)를 두루 붙들어 ‘[분별하는] 생각’(念)을 발동시켜 [그에 의거하여] 마음을 일

                  으키기 때문에, 먼저 ‘모든 유형의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諸
                  相)를 깨뜨려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를 붙드는 마음’(取相心)을

                  없앤다. [그런데] 비록 ‘허깨비 같은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가
                  있다[는 생각]’(幻化有相)은 이미 깨뜨렸지만 여전히 〈허망한 것을 없앤 ‘불

                  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본연’〉(無化空性)을 [다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
                  로] 붙들어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본연’(空性)[이라는 생각]을 붙들

                  기 때문에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음’(空)에 대해 [다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라고 집착하는] 마음을 일으키니, 그러므로 〈허망한 것을 없앤 ‘불

                  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는 본연’〉(無化空性)[이라는 생각]도 버리는 것이
                  다. 이때에는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없다[는 생각]을 붙드는 마음’(取
                  空之心)도 일으키지 않아 ‘둘[로 나누어 분별함]이 없는 중도’(無二中道)를 깨닫

                  게 되어 부처님이 들어간 〈모든 현상의 ‘사실 그대로’〉(諸法實相)와 같아지













                                                                          99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