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2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P. 122

『   』 제100호 | 『백일법문』 해설 100 |  어린 시절 친구들과 딱지치기 놀이
            수번뇌심소 5
                                         를 하고 놀 때 딱지는 내게 소중한 보
                                         물과도 같았다. 밀가루 포대나 양초

                                         갑처럼 빳빳한 종이를 찾아 정성껏
          인색, 사람을                        접고, 꼭꼭 밟아 다진 딱지는 내가

          비루하게                           소유한 최초의 자산이었는지도 모른

          하는 번뇌                          다. 딱지가 있어야 놀이에 낄 수 있
                                         고, 탐나는 딱지를 갖고 있어야 친구

                                         들에게 나의 존재감이 어필되었기 때
          서재영 성철사상연구원 연학실장
                                         문이다. 더구나 땀을 뻘뻘 흘리며 팔
                                         이 빠지게 내리쳐 딴 딱지는 그 무엇

                                         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전리품이

                                         었다.


                                           아끼면 똥 된다




                                           하루해가 뉘엿해질 무렵이면 놀이
                                         는 끝나고, 누군가는 부자가 되고 누
                                         군가는 빈손이 되었다. 딱지를 모두

                                         잃은 친구는 몇 장만 달라고 애절한
           서재영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
           학원에서 「선의 생태철학연구」로 박사학         눈빛을 보냈지만 나는 선뜻 그걸 나
           위를 받았다. 동국대 연구교수, 조계종 불
                                         눠주지 못했다. 흙먼지와 손 떼 묻은
           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불교신문  논설위
           원, 불광연구원 책임연구원 등을 거쳤다.
                                         딱지는 내가 가진 전부처럼 느껴졌기
           저서로 『선의 생태철학』 등이 있으며, 포교
           사이트 www.buruna.org를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나눠주는 대신 아무도 찾지



          120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