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P. 191
회는 ‘인성염불引聲念佛’로부터 시작하여 ‘무억 무념 무망’의 ‘삼구어’가 중
심이 되는 설법을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무상의 수계의식에 대
19)
한 설명은 종밀의 『원각경대소석의초』에 조금 더 상세하게 실려 있다. 그
에 따르면, 참여한 대중들에게 수계첩을 발급했으며, 정기적으로 행하지는
않았지만 자주 거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계의식은 바로 동산법문으로부터 전승된 것이라고 추
정된다. 앞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도신 선사는 『보살계법』을 찬술하여 수
계의식을 행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또한 그의 법요인 ‘일행삼매’에 득입得
入하는 방편으로 ‘염불’과 ‘좌선’을 제창했는데, 이는 무상이 ‘인성염불’로 법
회를 시작하여 ‘수계’가 끝나고 ‘좌선’을 행했다는 점은 그대로 동산법문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하겠다. 더욱이 『원각경대소석의초』에는 홍인의 제
자로 선습宣什 등을 ‘남산염불문선종南山念佛門禪宗’으로 분류하고, 김화상(
20)
무상)과 같은 의식을 행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현재 동산법문에서 수계의
식을 행하였다는 구체적 자료는 전혀 보이지 않지만, 이러한 무상이나 선습
등의 자료로부터 역으로 동산법문의 의식을 유추할 수도 있다 하겠다.
19) [唐]宗密撰, 『圓覺經大疏釋義鈔』卷三之下(卍續藏9, 533c), “그 傳授의 儀式은 간략히 이와 같다. 이 나라
에서 지금 官方의 戒壇에서 具足戒를 주는 것과 비슷하다. 설명하자면, 한두 달 전에 먼저 날짜를 정
하여 공시하여 僧尼와 士女들을 소집하여 方等道場을 설치하여 禮懺하기를 21일 혹은 35일 동안 한
후에 수계의식이 끝난다. 모두 야간에 실행하였는데, 이는 외부와 인연을 끊고 시끄러움을 막기 위
한 것이다. 수계의식이 끝나면 바로 잡념을 쉬게[息念] 하여 坐禪을 시켰다. 멀리서 온 사람이나 혹
은 비구니와 속인들은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모두에게 7일 혹은 14일 동안 좌선하도록
하였으며, 그러한 후에 인연을 따라서 헤어졌다. 또한 律宗과 같이 戒壇에 임하는 법은 반드시 대중
이 거행되었으며, 관청에서 발급하는 文牒에 의거하여 명칭을 ‘開緣’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행사는 1
년에 한번, 혹은 3년, 2년에 한번 정기적으로 개설하지는 않았지만 자주 열었다.[其傳授儀式, 略如
此. 此國今時官壇, 受具足戒. 方便謂一兩月前, 先剋日牒示, 召集僧尼士女, 置方等道場禮懺, 或三七
五七, 然後授法了. 皆是夜間, 意在絶外, 屛喧亂也. 授法了, 便令言下息念坐禪. 至於遠方來者, 或尼衆
俗人之類, 久住不得. 亦直須一七二七坐禪, 然後隨緣分散. 亦如律宗, 臨壇之法, 必須衆擧, 由狀官司
給文牒, 名曰開緣. 或一年一度, 或三年二年一度不等開數開.]”
20) [唐]宗密撰, 『圓覺經大疏釋義鈔』卷三之下(卍續藏9, 534c) “傳香이라는 것은 처음 대중을 모으고 禮懺 등
의 儀式은 金和上 門下와 같다.[言傳香者, 其初集衆禮懺等儀式, 如金和上門下.]”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