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고경 - 2021년 9월호 Vol. 101
P. 141

등을 구하고, 부자유스럽지만 자유를 희망하며, 항상恒常 되지 않지만 영
             원히 항상恒常 되기를 희구한다.” 인순은 종교란 결국 불평등하고 부자유
             스럽고 항상 되지 못하게 불안정한 현실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이 평등과

             자유와 ‘항상됨’을 지향하는 의욕임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

             교의 역할과 가치 역시 불평등 속에서 평등을 지향하고, 부자유 속에서 자
             유를 바라며, 항상恒常되지 못한 불안정 속에서 항상恒常된 안정을 지향하
             는 데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만약 종교가 이를 지향하지 않고 내세나 천

             당이라는 명목으로 현실의 불평등과 부자유, 불안정을 묵인한다면, 이것

             은 종교의 역할을 방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산속 깊이 들어가 ‘현실
             을 나몰라’라 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인간 현실 속에서 인간들이 겪는
             모든 부조리를 함께 겪으며 인간의 바람, 의욕을 표현하고 지향해가는 것

             이 진정한 종교의 역할이 된다. 인순이 ‘산중의 전통 불교’가 아니라 ‘인간

             불교’를 지향하게 된 것도 이러한 까닭에서라고 할 수 있다.


                종교의 역할 – ‘자기 강화’와 ‘자기 정화’




               인순은 종교의 가치를 두 가지 측면으로 보았다. 첫째는 자신을 강화하
             는 것이고, 둘째는 자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자신을 강화하는 것 외에 자
             기의 정화, 자기 극복의 다른 측면이 더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

             은 종교를 믿으면 자기 마음이 편안하게 위로가 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자

             아도취에 불과하고, 심지어 악의惡意로 보자면 종교를 아편으로 삼은 것이
             다.” 종교가 아편이라면 이것은 종교가 하나의 범죄가 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인순은 ‘현실 감각과 현실 변혁에의 의지가 없이 그저 현재에 안주하게

             하고 자기를 강화하는 것에 그치는 종교’를 승인하지 않았다. 자기 정화라



                                                                         139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