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고경 - 2021년 11월호 Vol. 103
P. 139
인 재가교단을 볼
때, 출가와 재가와
의 관계 또는 역
할을 어떻게 설정
할 것인가라는 문
제가 제기된다. 아
무튼 불교의 인도
멸망을 이처럼 내
부에서 찾은 것은 사진 3. 대만 불광산사의 성운대사와 히라카와 아키라(인간통신사人間通訊社 제공).
매우 의미가 깊다.
이슬람의 침입이 강했다든가, 힌두교의 교의가 불교를 신적 체계 내에서
흡수했다라든가 하는 설에 비해 출가와 재가 조직의 측면에서 본 것은 불
교의 본질적 속성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율의 문제는 오늘날에도 국가와의 관계에서 많은 시사점을 준
다. 히라카와에 의하면 자율적인 계율은 불교가 국가로부터 독자적인 존
재라는 것을 보여준다. 출세간 세계의 특징은 첫째, 세금을 내지 않는 것,
둘째, 국가의 법률에 속박받지 않는 것이다. 석존 당시에도 이러한 국가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었다. 원시불교는 세속의 국왕으로부터 출세간의 특권
을 인정받았다. 채무를 진 자가 출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것은 누군가
에게 손해를 입혔기 때문에 이를 변재하고 와야 된다. 군인도 마찬가지다.
출가하면 국가에 손해를 입히게 되므로 왕의 허락을 얻어야 된다. 세속의
의무나 권리를 완전히 지우고 출가해야 한다. 출가의 기본은 계급을 버리
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 한국, 일본의 경우, 불교가 유입될 때 국가의 보호를 받게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