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고경 - 2021년 12월호 Vol. 104
P. 138

금기요慶北五本山古今紀要』(1937년)
                                            를 펴내기도 했다. 그에 따르면

                                            고운사는 681년 의상이 ‘고운사高
                                            雲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가

                                            이곳과  인연이  있는  최치원의
                                            자字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로 개
                                            칭했다고 한다. 강유문은 1930년

                                            대에 「최근 백년간 조선불교 개

                                            관」, 「조선불교는 어디로」, 「신돈
                                            고辛旽考」 등 한국불교의 역사, 현
                                            재와 미래 등을 고민하는 글들을

                                            불교계 잡지에 게재했다. 또 「조
          사진 1.  강유문의 「최근 백년간 조선불교 개관」
              (『불교』 제100호).                 선불교연표」도 작성했고 일본 유

          학승답게 「메이지 초기의 일본불교-폐불훼석廢佛毁釋과 승려의 각성」이라
          는 글도 기고하였다. 1938년에는 그의 대표 저작이자 불교 대중화와 사회

          화를 위한 포석으로 『포교법 개설』이 출판되었다.

           『불교』 잡지 제100호에 실린 강유문의 「최근 백년간 조선불교 개관」은
          1830년대부터 1930년대 초까지 약 100년간의 최근세 불교사의 흐름을
          되짚어 본 것이다. 그는 불교 정책의 변화, 기관 설립 등을 기준으로 하

          여 6시대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우선 1830년부터 70년간은 조선의 배불정

          책의 연장선에서 놓인 ‘타성적 수난 시대’라고 규정하였다. 그가 근거로 든
          것은 승려의 도성 출입 금지 조치, 승려 인권의 문제 및 잡역과 공납의 폐
          해 등이었고, 혼란한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사찰은 산간에서 겨우 명맥만

          유지했다고 보았다. 이처럼 근대기에 들어 전통의 상을 그려낼 때 과거를



          136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